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르바이트 퇴직금 계산 방법

by johnsday2 2025. 8. 23.
반응형

🧾 아르바이트 퇴직금 계산 방법

아르바이트 퇴직금

 

아르바이트도 퇴직금을 받을 수 있을까?

많은 분들이 **“아르바이트는 단기 근로니까 퇴직금이 없다”**고 생각하곤 합니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대한민국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아르바이트든 정규직이든 1년 이상 근속하고 주 15시간 이상 근로했다면 퇴직금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즉, 단순히 계약서 상 “알바”라고 쓰여 있다고 해서 퇴직금이 없는 것이 아니라, 실제 근로 기간과 근로 시간에 따라 퇴직금 지급 의무가 발생합니다.


👉 퇴직금 계산 바로가기

 


아르바이트 퇴직금 지급 조건

퇴직금 계산 전에, 본인이 퇴직금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을 충족했는지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1. 근속기간 1년 이상
    • 퇴직금은 최소 1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만 지급됩니다.
    • 1년 미만 근로자는 퇴직금 지급 대상이 아닙니다.
  2. 주 15시간 이상 근무
    • 주 15시간 이상, 그리고 월 60시간 이상 근무해야 퇴직금 대상자가 됩니다.
    • 주 2~3회 단시간 근무라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3. 근로계약서 여부와 상관 없음
    • 계약서에 퇴직금 조항이 없더라도, 근로기준법에 따라 조건을 만족하면 퇴직금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아르바이트 퇴직금 계산 공식

퇴직금 계산의 기본 공식은 정규직과 동일합니다.

👉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 1년)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1일 평균임금”을 어떻게 산정하느냐입니다.

  • 1일 평균임금 = 퇴직 전 3개월간의 총 임금 ÷ 총 일수
  • 여기서 총 임금에는 기본급뿐 아니라 수당(식대, 교통비, 주휴수당 등)도 포함됩니다.

아르바이트 퇴직금 계산 예시

사례 1: 카페 아르바이트

  • 근무 기간: 2년
  • 월급: 120만 원 (주휴수당 포함)
  • 최근 3개월 총 급여: 360만 원

👉 1일 평균임금 = 360만 ÷ 90일 = 40,000원
👉 퇴직금 = 40,000 × 30일 × 2년 = 2,400,000원

따라서 2년 동안 근무한 카페 아르바이트생은 퇴직금으로 약 24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례 2: 주말 편의점 아르바이트

  • 근무 기간: 1년 2개월
  • 주 20시간 근무, 시급 1만 원
  • 월평균 임금: 약 80만 원

👉 1일 평균임금 = (240만 ÷ 92일) ≈ 26,000원
👉 퇴직금 = 26,000 × 30일 × 1.17년 ≈ 915,000원


퇴직금 계산 시 자주 묻는 질문 (FAQ)

❓ 아르바이트 계약서에 “퇴직금 없음”이라고 써 있으면 못 받나요?

➡️ 아닙니다. 근로기준법이 계약서보다 우선합니다. 조건을 충족하면 반드시 지급해야 합니다.

❓ 퇴직금은 언제 받을 수 있나요?

➡️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지급해야 하며, 불가피한 경우 근로자와 합의해 연장할 수 있습니다.

❓ 사장이 퇴직금 지급을 거부하면 어떻게 하나요?

➡️ 고용노동부에 진정서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관할 노동청에서 조사 후 지급 명령을 내리게 됩니다.

❓ 알바 중途 퇴사해도 받을 수 있나요?

➡️ 근속기간이 1년 이상이면 자진 퇴사든 권고사직이든 상관없이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과 퇴직금의 관계

아르바이트생이 자주 헷갈리는 부분이 주휴수당퇴직금입니다.

  • 주휴수당: 1주일간 소정 근로일을 개근하면, 1일분 임금을 추가로 지급하는 제도.
  • 퇴직금: 근속기간 1년 이상, 주 15시간 이상이면 별도로 산정해 지급.

즉, 주휴수당을 받았다 하더라도 퇴직금은 별개로 받을 수 있습니다.


아르바이트 퇴직금 계산기를 활용하세요

인터넷에는 고용노동부 및 여러 노동상담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퇴직금 계산기가 있습니다.

  • 본인의 근속기간, 최근 3개월 급여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퇴직금을 산출해 줍니다.
  • 다만 실제 산정 시 수당 포함 여부, 일수 계산 방식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참고용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퇴직금 관련 분쟁 해결 방법

아르바이트생이 퇴직금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
이럴 때는 다음 절차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사업주와 1차 협의
    • 계산 내역을 제시하고, 법적으로 지급 대상임을 설명합니다.
  2. 노동청 진정 제기
    •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또는 관할 지청을 통해 진정서를 제출합니다.
  3. 노무사 상담
    • 복잡한 계산이나 법적 대응이 필요하다면 노무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소액체당금 제도 활용
    • 사업주가 지급 능력이 없을 경우 국가가 일정 부분을 대신 지급해 주는 제도입니다.

2025년 최저임금 인상과 퇴직금

2025년 최저임금은 시급 10,42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최저임금이 올라가면 아르바이트생의 월급도 함께 상승하고, 이에 따라 퇴직금 역시 증가합니다.
따라서 장기 근속 아르바이트생은 퇴직금이 생각보다 큰 금액이 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아르바이트도 정당한 권리를 누려야 합니다

아르바이트는 단순히 ‘용돈벌이’가 아니라, 노동법상 보호받는 근로계약 관계입니다.
따라서 근속기간과 근로시간 요건을 충족하면 퇴직금은 반드시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 오늘 알려드린 퇴직금 계산 공식과 예시, 지급 조건을 꼭 기억하세요.
👉 혹시라도 사장이 지급을 거부하거나 계약서에 ‘퇴직금 없음’이 있다고 하더라도, 법적으로 청구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권리를 제대로 알고, 정당한 보상을 당당히 요구하세요.

 

 

👉 퇴직금 계산 바로가기

반응형